본문 바로가기

게이트

[뉴스웨이브][게이트]제주맥주, 잇따른 유상증자 번복…‘납입 데드라인 맞출까’

- 최초 납입일 올 5월30일, 수차례 변경…'불성실공시법인' 리스크


[편집자주] 단편적인 뉴스만으로 자본시장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 금융시장·기관·기업들의 딜(거래), 주식·채권발행, 지배구조 등 미세한 변화들은 추후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슈 사이에 숨겨진 이해관계와 증권가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다양한 풍문을 살피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뉴스웨이브가 ‘게이트(門)’를 통해 흩어진 정보의 파편을 추적한다.

뉴스웨이브 = 정민휘 기자

거래정지 상태인 코스닥 상장사 제주맥주가 유상증자 납입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제주맥주 최근까지 다섯 번의 유상증자결정을 번복했다. 한 번은 주식 수 변동, 네 번은 납입일 변경이다. 올해 자동차 수리업체가 최대주주로 등극하며 인수의도와 자금조달을 두고 물음표가 붙는 모양새다. 정체가 불분명한 투자조합이 제3자배정 대상자로 나타나며 최종 납입에 이목이 쏠린다. 납입일을 6개월 이상 연기하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는데 이를 헷지 할 수 있는 기한은 오는 11월30일까지다.

제주맥주는 최근 공시를 통해 1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을 이달 16일에서 이달 30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다섯 번째 유상증자 정정 공시다. 

회사가 유상증자 계획을 밝힌 것은 지난 5월이다. 최초 납입 예정일은 5월30일이었으나 7월30일로 한 차례 연기(5월30일 공시)했다. 하지만 7월30일에도 유상증자 납입은 불발됐다.

이후 납입일을 8월 30일로 하겠다고 정정(7월31일 공시)했다가 8월16일로 당기겠다고 번복(8월8일 공시)했다. 8월16일에도 납입은 이뤄지지 않았다. 납입일을 또다시 8월 30일로 미뤄(8월16일 공시)졌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재무적투자자(FI)인 지와이투자조합이다. 올해 3월 신규 설립된 곳으로 수차례에 시장에서는 자금 조달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제주맥주는 올해 3월19일 매각되며 경영권 손바뀜이 발생했다. 기존 최대주주인 엠비에이치홀딩스와 창업자인 문혁기 대표는 보유한 주식과 경영권을 자동차 수리업체인 더블에이치엠에 매각했다. 새로운 주인이 된 더블에이치엠이 100억원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추진하며 또 한 번 손바뀜을 예고했다. 오는 30일 지와이투자조합이 유상증자 납입을 완료하면 지분 13.72%를 확보하며 최대주주에 오른다. 

문제는 납입이 지연되며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코스닥 상장기업은 최초 유상증자 공시에서 기재한 납입기일을 6개월 이상 연기하는 경우 공시변경으로 인한 불성실공시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최초 납입일(5월30일)을 기준으로 단순 계산하면 6개월 데드라인은 올해 11월30일이 된다. 

제주맥주가 생산하는 '제주누보' 캔.   사진=제주맥주

거래소는 일부 부실기업이 유상증자 공시 후 납입 일정을 연기하는 방법으로 시간 끌기에 악용하자 유상증자 납입일 연기 기한에 6개월이라는 제한을 뒀다. 불성실공시법인은 5점 이상 벌점을 받으면 1거래일 거래가 정지된다. 불성실공시로 인한 벌점이 1년간 15점을 넘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제주맥주는 2015년 창업 후 흑자를 낸 적이 없다. 적자 기업이라도 성장 가능성 등을 보고 상장을 허용하는 테슬라 요건(이익 미실현 기업 상장 제도)으로 2021년 코스닥에 입성했다. 

기업공개 추진 당시 제주맥주는 2023년 매출 1147억원, 영업이익 219억원을 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실제 2023년 매출은 224억원에 불과했고, 영업이익은 마이너스(-)110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공장 평균가동률은 44.1%로 손익분기점(BEP)인 70%에 한참 모자란다. 결손금이 증가하며 지난해 자본총계는 자본금보다 적은 자본잠식(부분자본잠식)이 발생했다.

결손금이 누적된 상황에서 유상증자 납입마저 이뤄지지 않자 지난달 31일 보통주 5주를 같은 액면주식 1주로 병합하는 무상감자(감자비율 80%)를 결정했다. 감자 기준일은 8월5일, 병합 기준일(효력 발생일)은 8월6일이다. 무상감자 후 발행 주식 수는 5943만 주에서 1189만 주로 줄고, 자본금은 297억 원에서 59억 원으로 줄어든다. 감자로 인한 자본금 감액분은 자본잉여금으로 전환된다.